반응형
**출력 가능하게 변경한 인코딩
- Quoted Printable Encoding : 8비트 데이터를 7비트 데이터만 지원하는 통신 경로를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인코딩
**베이스 64 인코딩
- QP 인코딩이 1바이트를 사용하기 위해 3바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주 비효율적
- 3바이트 데이터를 4문자로 표현
- QPE와 베이스 64 인코딩의 차이 : https://help.perforce.com/stingray/11.2/html/sflug/15-4.html
Base64 and Quoted-Printable Encoding Classes
Internet User Agents, especially those subscribing to the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such as mail programs and message transfer agents (MTAs), impose a restriction of 7-bit US-ASCII characters and short line lengths on the transferred content.
help.perforce.com
** URL 인코딩
- %뒤에 16진 표현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문자를 인코딩
- URL에서 URL로 사용할 수 없는 문자, 혹은 사용해도 의미가 왜곡될 수 있는 문자를 %XX로 쓰는 것을 말한다.
사진 출처 : https://it-eldorado.tistory.com/143 - 왜 쓸까?
-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아스키 문자이다. 따라서 아스키 문자가 아닌 것들은 전송 가능하게 바꾸어주어야 한다. 한글은 이 때 UTF-8이라는 기준을 가지고 바꾸어서 전송한다.
- 아스키문자라고 하더라도, 그 자체의 의미를 갖고있는 예약어인 경우, 이스케이프 처리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예시가 '/', '&', '=' 이다. 위의 그림에서 피그&브라더에서 &을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보내고 싶다면, %26으로 인코딩하여 진행할 수 있다.
- URL 인코딩 사이트 : https://www.convertstring.com/ko/EncodeDecode/UrlEncode
URL 인코딩 - 온라인 URL 인코더
www.convertstring.com
**색을 표현하는 방법
- 빨간, 녹색, 파란 광선을 섞어서 색을 만들어내며, 이런 색 표현법을 RGB 색 모델이라고 부른다.
- 24비트를 사용해 1천만에 가까운 2의 제곱수에 해당하는 색을 표현 가능
** 색 인코딩
- - 웹 페이지는 주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UTF-8 문자의 시컨스로 이뤄지는 텍스트를 표현하기 때문에, 텍스트를 사용해 색을 표현할 방법이 필요하다.
- - URL 인코딩과 비슷한 방법 사용, 16진 트리플렛으로 표현
- Hex triplet란 3바이트(byte) 16진수(hexadecimal number)로 표시되는 6자리의 숫자로 색을 표시하는 코드를 말한다. 여기에서 각 바이트는 빨강 red, 초록 green, 파랑 blue의 RGB 3원색을 표시하며 각각의 바이트는 00에서 FF사이의 16진수(10진수로 표시하면 0에서 255)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코드체계로 표시할 수 있는 색의 수는 256 × 256 × 256 = 16,777,216 가지가 될 수 있다.
출처: https://winsys.tistory.com/197 [한암의 누리사랑방]
- Hex triplet란 3바이트(byte) 16진수(hexadecimal number)로 표시되는 6자리의 숫자로 색을 표시하는 코드를 말한다. 여기에서 각 바이트는 빨강 red, 초록 green, 파랑 blue의 RGB 3원색을 표시하며 각각의 바이트는 00에서 FF사이의 16진수(10진수로 표시하면 0에서 255)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코드체계로 표시할 수 있는 색의 수는 256 × 256 × 256 = 16,777,216 가지가 될 수 있다.
- # 뒤에 여섯자리 16진 숫자를 추가해 #rrggbb처럼 표현하는 방식
반응형
'백엔드 > os 및 일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아키텍쳐와 운영체제 - 메모리 관리 장치, 가상 메모리, 시스템 공간과 사용자 공간 (0) | 2022.02.28 |
---|---|
전자 회로의 조합 논리 - 디지털 컴퓨터의 사례 (0) | 2022.02.18 |
컴퓨터 내부의 언어 체계 - 텍스트 표현 (0) | 2022.02.15 |
컴퓨터 자료구조 - 2진수를 다루는 쉬운 방법, 비트 그룹의 이름 (0) | 2022.02.14 |
컴퓨터 자료 구조 - 실수를 표현하는 방법, 2진 코드화한 10진수 시스템 (0) |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