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엔드/os 및 일반 지식

컴퓨터 자료구조 - 2진수를 다루는 쉬운 방법, 비트 그룹의 이름

반응형

**8진 표현법

- 8진이라는 말은 밑이 8이라는 말이다.

 

 

**8진 표현 예시

이진수 100101110001010100이 있다고 하자.

딱 봐도 무섭다. 보기 쉽게 만들어야한다.

3자리씩 끊어보도록 하자

100  101 110 001 010 100

각각은 4,5,6,1,2,4이다. (3개씩 묶으면 커봤자 7이라서 8보다 클 수는 없다.)

456124 이런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16진 표현법

- 8진 표현법이 널리쓰이지 않는 이유는, 요즘은 컴퓨터 내부가 8비트의 배수를 사용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 16진은 밑이 16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16진 표현법 예시

이진수 11010011111111000001.

아코 무셔웡.

보기 쉽게 바꿔볼껀데, 이번에는 4개 단위로 끊어보겠다.

이진수 4자리는 15보다 클 수 없다.

1101 0011 1111 1100 0001

13 3 15 12 1이다.

우리가 가진 10개의 숫자로는 표현을 다 못한다.

따라서 10부터는 각각 a,b,c,d,e,f로 표현을 하겠다.

d3fc1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진법 표기법

- 밑이 무엇이냐에 따라 숫자가 의미하는 것이 모두 다를 수 있다.

- 따라서 표기법을 정한 것이 있다.

1. 0으로 시작하는 숫자는 8진숫자다. 예로 017은 8진수이며, 십진수로는 15이다.

2.1부터 9로 시작하는 숫자는 10진수이다. 예로 123은 십진수다.

3.0x가 붙으면 16진수이다. 예로 0x12f는 16진수이며 10진수로는 303이다.

 

 

** 비트 그룹의 이름

- 컴퓨터는 조직화되지않은 비트로 이루어져있다.

- 비트가 너무 작아서 사용할 비트의 개수와 비트의 조직을 결정해야만 한다. 그래서 비트를 묶기도 한다.

- 비트 묶음을 다음과 같이 부른다.

이름과 비트의 개수이다.

1. 니블, 4개

2.바이트 8개

3.하프 워드, 16개

4. 롱 워드, 32개

5. 더블 워드, 64개

 

- 큰 수를 가리키는 표준도 있다. 밑이 2인 경우들이다.

1. 킬로비트

2. 킬로바이트

3. 메가 바이트

4. 기가 바이트

5. 테라 바이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