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회선
- 통신사업자와 케이블을 연결 후, 통신 사업자가 판매하는 인터넷과 연결된 회선을 사용해야만 인터넷 접속이 가능.
- 일반 가정에서는 전송 선로 공유 기술을 사용.
예를 들어 아파트 광랜은 내부 선로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여서 인터넷 전용 회선처럼 보이지만 아파트에서 통신 사업자까지 연결한 회선을 아파트 가입자가 공유하는 구조.
전용 회선
- 가입자와 통신사업자 간에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서비스를 대부분 전용회선이라고 부른다.
-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기술에는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 시분할 다중화)가 있다.
- 저속 : 음성 전송 기술 기반. 높은 속도가 필요하지 않을 때나 높은 신뢰성이 필요할 때 사용. 현재는 사용 빈도가 줄었다.
- 고속 : 메트로 이더넷. 대부분 광케이블 기반의 이더넷을 사용. 가입자와 통신 사업자 내부에서의 통신 기법이 다른 것은 통신 사업자는 여러 가입자를 구분하고 가입자 트래픽을 고속으로 전송하는 것이 중요.
인터넷 전용 회선
- 인터넷 연결 회선에 대한 통신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상품을 인터넷 전용 회선이라고 합니다.
- 가입자가 통신 사업자와 연결되고 이 연결이 다시 인터넷과 연결되는 구조.
- 인터넷 전용 회선은 가입자가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접속 기술과 달리 다른 가입자와 경쟁 하지 않고 통신 사업자와 가입자 간의 연결 품지을 보장.
VPN
- Virtual Private Network 의 약자로 물리적으로는 전용선이 아니지만 가상으로 직접 연결한 것 같은 효과가 나타나도록 만들어주는 네트워크 기술
- 통신 사업자 VPN, 가입자 VPN
통신 사업자 VPN
- 전용선은 연결거리가 늘어날수록 비용이 증가
- 전용선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보장.
- 가입자가 계약된 대역폭을 항상 100% 사용하는 것이 아니어서 낭비되는 비용이 클 수 있고 이를 줄이기 위해 통신 사업자가 가입자를 직접 구분할 수 있는 VPN 기술을 사용. 가장 대표적인 기술이 MPLS VPN
- 여러 가입자가 하나의 망에 접속해 통신하므로 공용 회선을 함께 이용하게 되어 비용이 낮아진다.
가입자 VPN
- 비용을 낮추기 위해 일반 인터넷 연결을 이용한 VPN을 이용
DWDM
-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 파장 분할 다중화
- 먼 거리 통신할 때 케이블 포설 비용이 매우 많이 들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
- 이전에는 하나의 광케이블에 하나의 통신만 가능.
- 이후에는 하나의 광케이블에 다른 파장의 빛을 통해 여러 채널을 만드는 동시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백엔드 > os 및 일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애니캐스트 (0) | 2023.01.15 |
---|---|
네트워크 - 구성 요소 (0) | 2023.01.08 |
네트워크 - 연결 구분 (0) | 2023.01.08 |
네트워크 -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 (0) | 2023.01.08 |
네트워크 - OSI 7계층과 TCP/IP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