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앙처리장치
머신코드의 자리수가 정해진 것은 CPU 입력선의 개수가 정해져있기 때문. 모든 숫자가 입력선 하나하나와 연결.
CPU 동작의 최소 단위는 Instruction : 머신코드 하나하나가 어떻게 동작할지 알려주기때문에.
opcode : 신호가 0이면 덧셈, 1이면 뺄셈을 한다고 미리 정의해놓고 회로를 설계한다
컴퓨터에 들어가는 CPU의 OPCODE는 대략 6자리 내외다
보통 Instruction의 앞 6자리가 Opcode이다. 즉, 어떤 기능을 할지를 의미한다.
ALU (Arithmetic logic unit)
CPU와 관련된 저장장치 :
외부에 존재 : 하드디스크, RAM (가장 CPU에서 멀다)
내부에 존재 : 레지스터 (컴퓨터에서 가장 빠른 저장 장치)
보통 CPU에서 멀어질수록 용량이 큰 대신 속도가 느려지고, 가까울수록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속도가 빠른 대신, 용량이 적다
반응형
'백엔드 > os 및 일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0) | 2022.01.05 |
---|---|
프로그래머의 세계 이해하기 (0) | 2022.01.04 |
프로그래밍 언어 이해하기 (0) | 2022.01.03 |
소프트웨어 이해하기 (0) | 2022.01.03 |
Computer Architecture : 회로설계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