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os 및 일반 지식

네트워크 - 로드 밸런서 구성 방식

JerryTheSWEngineer 2023. 2. 11. 20:47
반응형

구성 위치에 따라 2가지로 나뉜다. 

 

원암 구성

인라인 구성

 

원암은 로드밸런서가 중간 스위치 옆에 연결되는 구성,인라인 구성은 서버로 가는 경로 상에 로드 밸런서가 연결되는 구성,

이 둘의 구분은 서버로 가는 트래픽이 모두 로드 밸런서를 경유하는지, 경유하지 않아도 되는지에 대한 트래픽 흐름으로 구분. 

 

원암 구성은 트래픽이 로드밸런서를 경유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여부는 부하 분산을 이용한 트래픽인지 여부로 구분 가능. 

부하 분산에 사용되는 서비스 IP 정보를 로드밸런서가 가지고 있어 서버로 유입되는 트래픽은 먼저 로드밸런서를 거친다. 

 

원암 구조에서 서버의 응답 트래픽이 로드밸런서를 다시 거치려면 로드밸런서를 거칠 때, 서비스 IP에 대해 실제 서버로 Destination NAT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호출한 사용자 IP가 아니라 로드밸런서가 가진 IP로 Source NAT도 함께 이루어져야한다. 

 

 

원암 구성에서는 로드밸런서를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만 로드밸런서를 경유하므로 불필요한 트래픽이 로드밸런서에 유입되지않아 로드밸런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스위치와 로드밸런서 간의 대역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역폭이 부족하면 이 구간만 대역폭을 증설하면 되므로 확장에 유리. 

 

인라인 구성은 로드 밸런서가 스위치에서 서버까지 가는 일직선상 경로에 있는 형태를 말한다. 이는 로드밸런서의 서비스를 받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로드 밸런서를 모두 통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라인 구성은 로드 밸런서를 모두 통과하기에 부하가 높은데, 일반 L3 역할을 하는 스위치에 비해 로드 밸런서는 4계층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처리 가능한 용량이 L3 장비보다 적으며, 처리 용량이 커지면서 가격도 많이 상승하므로 로드밸런서 부하에 따른 서버 성능을 반드시 고려해야한다. 

 

 

인라인으로 로드밸런서를 선정할 때 로드밸런싱 성능과 패킷 스루풋 성능을 구별해 디자인해야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