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os 및 일반 지식

네트워크 - 이중화 기술 개요

JerryTheSWEngineer 2023. 2. 6. 16:36
반응형

이중화의 목적


인프라를 구성하는 각 요소가 복수 개 이상으로 인프라를 구성해 특정 인프라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이중화된 다른 인프라를 통해 서비스가 지속되도록 해줍니다. 

서비스에 필요한 처음지점부터 끝 지점 (End-to-End)까지 모든 인프라에 이중화 구성을 고려해야한다. 서비스를 위한 물리적 또는 가상 머신 서버,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를 구성해주는 인터페이스, 서버에 연결된 스위치, 다수 서버의 부하 분산을 위한 L4/L7 스위치, 방화벽, 인터넷 게이트웨이, 인터넷 회선 등 인프라의 모든 요소가 이중화 구성이 필요한 항목. 

 

이런 이중화 구성은 동시에 운영 중인 상태로 동작하는 것인지, 하나의 구성요소는 운영 상태이고 다른 하나는 대기 상태로 있다가 운영 상태인 인프라에 장애가 발생하면 대기 상태인 인프라가 운영 상태로 전환될 것인지에 따라 액티브-액티브 또는 액티브-스탠바이 형태로 구성.

 

* 스위치의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가용한 링크를 루프 방지를 위해 동시에 사용하지않고 단일 경로를 통해 트래픽이 통과하고, 정상 구간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만 차단되었던 경로를 다시 활성화해 사용하므로 액티브-스탠바이 형태로 구성된 이중화 기술이다. 

 

평소 서비스 제공에 문제가 없어도 이중으로 인프라를 구성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특정 지점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는 가능하므로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해주기 때문인데, 이를 폴트 톨러런스가 보장된다고 말하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