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os 및 일반 지식

네트워크 - 서브넷과 게이트웨이

JerryTheSWEngineer 2023. 1. 23. 16:09
반응형

서브넷과 게이트웨이 용도


원격 네트워크 통신은 네트워크를 넘어 전달되지 못하는 브로드캐스팅의 성질 때문에 네트워크 장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이 장비를 게이트웨이라고 합니다. 

게이트웨이에 대한 정보를 PC나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하는 항목이 기본 게이트웨이입니다. 

 

출발지에서는 먼저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의 범위인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때 사용하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

 

 

2계층 통신 vs 3계층 통신


실무에서는 로컬 네트워크 통신, 원격지 통신을 각각 2계층 통신, 3계층 통신이라고 얘기한다.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로컬 네트워크 통신의 경우 3계층 네트워크 장비의 도움 없이 통신이 가능.

이를 L2 통신이라고 부름.

반면 원격지 네트워크와 통신해야할 경우 라우터와 같은 3계층 장비의 도움이 없으면 통신할 수 없습니다.

해당 패킷 전송 네트워크 장비에서 3계층 정보까지 확인해야하며, 이것을 L3 통신이라고 부릅니다.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에서 단말이 자신이 직접 보낼 수 없는 이치에 목적지가 있다고 판단, arp 요청을 기본 게이트웨이의 IP 주소로 요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