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엔드/알고리즘, 자료구조

퀵 소트

반응형

**정의

분할과 정복을 통해 주어진 배열을 정렬하는 알고리즘

 

배열에서 기준 (pivot)을 잡고, 기준보다 값이 큰 집합, 작은 집합으로 나눕니다

(Divide)

 

그리고 그 사이에 기준을 위치시킵니다.

 

작은 집합과 큰 집합을 재귀호출하여 정렬한 뒤 (Conquer), 결과를 합치면 정렬된 배열을 얻을 수 있다.

 

 

 

** 예시

[1, 6, 2, 9, 4]  # 정렬되지 않은 배열

1단계: [1, 6, 2, 9, 4]
      마지막 원소인 4를 pivot으로 삼습니다.
	    pivot보다 작은 집합의 인덱스 i를 -1로 설정합니다.
			(i=-1)

2단계: [1, 6, 2, 9, 4]
			j를 0에서부터 3까지 살펴봅니다. 
			j가 0이므로 지금 살펴보고 있는 값은 1 입니다.
      1는 pivot(4)보다 작습니다.
			i를 1 증가시켜 0으로 만듭니다.
			i 와 j 의 위치를 바꿉니다.
      i와 j가 동일하므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i=0, j=0)

3단계: [1, 6, 2, 9, 4]
			j를 1 증가시켜 1로 만듭니다.
		  지금 살펴보고 있는 값은 6 입니다.
      6은 pivot(4)보다 큽니다.
			넘어갑니다.
			(i=0, j=1)

4단계: [1, 6, 2, 9, 4]
			j를 1 증가시켜 2로 만듭니다.
		  지금 살펴보고 있는 값은 2 입니다.
      2는 pivot(4)보다 작습니다.
			i를 1 증가시켜 1로 만듭니다.
			i(1) 와 j(2) 의 위치를 바꿉니다.
			배열은 [1, 2, 6, 9, 4]가 됩니다.
			(i=0, j=2)

5단계: [1, 2, 6, 9, 4]
			j를 1 증가시켜 3으로 만듭니다.
		  지금 살펴보고 있는 값은 9 입니다.
      9는 pivot(4)보다 큽니다.
			넘어갑니다.
			(i=1, j=3)

6단계: j를 0부터 3까지 모두 살펴보았습니다.
		  i는 pivot보다 작은 집합의 범위를 나타내므로, i+1과 pivot의 위치를 바꿉니다.
	    배열은 [1, 2, 4, 9, 6] 이 됩니다.

7단계: [1, 2]와 [9, 6]을 대상으로 1~6단계를 반복합니다.
      결과적으로 [1, 2, 4, 6, 9]가 됩니다.
			정렬이 끝났습니다.

 

** 시간 복잡도

worst case, 1 2 3 4 5 6 7 8 9 10
best case, 1 4 2 3 6 7 10 9 8 5

 

 

**퀵소트 구현

 

def quicksort(lst, start, end):
    def partition(part, ps, pe):
        pivot = part[pe]
        i = ps - 1
        for j in range(ps, pe):
            if part[j] <= pivot:
                i += 1
                part[i], part[j] = part[j], part[i]

        part[i + 1], part[pe] = part[pe], part[i + 1]
        return i + 1

    if start >= end:
        return None

    p = partition(lst, start, end)
    quicksort(lst, start, p - 1)
    quicksort(lst, p + 1, end)
    return lst
반응형

'백엔드 > 알고리즘,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힙 소트  (0) 2022.02.02
합병 정렬  (0) 2022.02.02
트리  (0) 2022.01.30
BFS  (0) 2022.01.30
  (0) 2022.01.28